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전 세계가 기록적인 폭염에 펄펄 끓고 있습니다. <br> <br> 이상 기후는 북반구 곳곳의 일상을 셧다운, 멈춰세웠습니다. <br> <br> 코로나 팬데믹 당시 봉쇄 상황처럼 세계 경제에도 막대한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 정다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이란의 수도, 테헤란에 있는 은행이 문을 굳게 닫았습니다. <br> <br> 인근 상점들도 마찬가지. <br> <br> 연일 50도에 육박하는 불볕더위 속에 온열환자가 급증하자 도심 곳곳에 구급차가 배치됐습니다. <br> <br> 이란 정부는 지난 2일부터 이틀을 임시 공휴일로 선포했습니다. <br> <br>[마흐무디 / 이란 주민] <br>"테헤란에서 이런 더위를 경험해 본 적이 없습니다." <br> <br> 이례적 폭염이 닥친 남유럽 곳곳도 멈춰섰습니다. <br> <br>스페인은 일부 야외 작업을 금지했고, 그리스는 가장 더운 시간대 건설 작업이나 배송 근로를 금지했습니다. <br><br> 야외작업 금지나 근로시간 단축 권고, 임시 공휴일까지 지정하는 국가들이 속출하자 외신들은 3년 가까이 이어졌던 팬데믹 당시 봉쇄 상황을 떠올린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><br> 야외활동 인구가 줄어들자 경제도 위축됐습니다. <br> <br>[탕루준 / UAE 공사현장 중국인 근로자] <br>"UAE의 고온현상이 건설사들 업무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. 고온으로 업무 효율이 약 20% 떨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." <br> <br>[타랄 안싸리 / 사우디아라비아 바리스타] <br>"폭염 때문에 사람들이 외출을 하지 않아서 매출이 감소했습니다." <br> <br> 미국에선 더위를 참다 못한 배송기사가 옷을 입은 채 그대로 가정집 수영장에 뛰어들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 폭염 속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배송기사들은 파업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아마존 배송기사] <br>"사막에서 운전할 때 밖은 37도 이상이고, 배송차량 뒤쪽은 거의 60도에 육박합니다. 오븐을 타고 다니는 셈입니다." <br><br>올해 7월이 역대 가장 더운 달로 기록될 만큼, 지구는 점점 뜨거워지고 있습니다. <br><br>[안토니우 구테흐스 / 유엔 사무총장] <br>"지구 온난화 시대는 끝났습니다. 이제 지구가 들끓는 시대가 시작됐습니다" <br> <br> 국제노동기구는 2030년 폭염으로 3000조 원 이상 경제적 손실이 전세계에 닥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. <br><br>폭염에 따른노동력 손실은 농업과 건설, 제조업 분야에서 특히 심한데요, <br> <br>32도가 되면 생산성이 25% 떨어지고, 38도를 넘어서면 70%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나왔습니다.<br><br> 극단적 폭염과 폭우, 가뭄으로 곡물값이 치솟는 '기후플레이션'이란 용어도 등장했습니다. <br><br>[이정희 /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] <br>"(폭염이 길어지면) 농작물 수확에 영향을 많이 줄 수 있다는 부분은 원래 기대하지 않았던 변수로서 하반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." <br> <br> 점점 뜨거워지는 지구 표면 위에서 경제 활동에도 위기가 들이닥쳤습니다. <br> <br>세계를보다, 정다은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ichannela.com